차트의 기본 13

이동평균선

**MA(이동평균선)**은 금융 시장에서 주가나 가격의 움직임을 이해하고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Moving Average"의 약자로,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평균을 계산하여가격 데이터의 변동성을 부드럽게 만드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MA의 종류SMA (Simple Moving Average, 단순 이동평균선)주어진 기간 동안의 가격의 산술 평균입니다.계산법:예를 들어, 5일 SMA는 지난 5일간의 종가를 더한 뒤 5로 나눕니다.EMA (Exponential Moving Average, 지수 이동평균선)최근의 가격 데이터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합니다.EMA는 SMA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단기적인 변화를 더 잘 반영합니다.WMA (Weighted Moving Aver..

차트의 기본 2025.01.13

손익비 좋은 구간이란

차트를 보면서 나는 익절을 자주 하긴 하는데얻는 수익은 적고손절을 한번 하면 크게 손해를 본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을 겁니다. 그 이유는 손익비가 안 좋은 매매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어떻게 손익비가 좋은 구간을 찾을 수 있을까요? 제일 처음 하셔야 할것은 지지, 저항선을 체크 하는 것입니다BTC 1시간 봉입니다주황색선이 현재 가격인데요여기서 위쪽에 붉은선이 저항선아래쪽의 녹색선이 지지선입니다(해당 지표를 설정하는 방법은 개인적으로 문의하시면 안내해 드릴게요) 이제 포지션을 정해야 합니다올라갈 것인지, 내려갈 것인지어떤 경우가 이익이 더 클까요?다시 차트를 보면,해당 박스 안에서 캔들의 움직임을 예측한다면이 안에서 이 정도의 움직임을 보일 것입니다(물론, 그 사이에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야겠지만 말이..

차트의 기본 2025.01.03

헷지, 멘징

투자를 하시다보면, "리스크 헷지를 한다" 이런말을 하죠.울타리라는 뜻을 가진 헷지(Hedge)란, 투자를 할때 생기는 위험을 제거하는 걸 전체적으로 일컫는 말인데요. '위험회피' 또는 '위험분산'이라고 합니다.우리가 비중을 나누고, 손절가를 정하고서, 투자를 하는 방식들이 리스크헷지의 일종인거죠.그런데 "멘징"이라는 말도 있습니다.멘징은 '입은 손실을 다른곳에서 복구'하는 걸 의미합니다.예를들어, "나 A코인이 10%하락해서 손해였는데, B코인이 12% 올라서 '멘징'했어!"이렇게 쓰이는거죠.이 단어는, 일본 마작(麻雀) 용어 "멘젠"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네요.간단하게 말하면, 처음의 상태를 의미하는데손실을 회복해서 원금을 유지하는걸 '멘징'이라 하겠네요.

차트의 기본 2025.01.03

CEX? DEX?

중앙화 거래소(CEX)와 탈중앙화 거래소(DEX)란? 1. 중앙화 거래소 (CEX-Centralized Exchange)란?가상자산 거래소는 운영 방식에 따라중앙화거래소(CEX)와 탈중앙화거래소(DEX)로 구분됩니다. 현재 가상자산 거래 시 주로 사용하게 되는 방식이 CEX입니다.CEX는 'Centralized Exchange'의 약자로,중앙화된 기관 또는 기업이 운영하는 거래소를 뜻합니다.제3자인 이 거래소가 운영주체가 되어 가상자산 거래를 할 수 있는 겁니다. 이용자는 거래소에서 회원가입하는 것처럼 해당 CEX의 계정을 만들고 거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이후 이용자는 현금 및 가상자산을 해당 거래소의 지갑에 보관하고 거래를 시작합니다. 즉, 이용자가 자금의 보안을 거래소에 위탁하는 형태입니다.마치 증..

차트의 기본 2025.01.03

9. 데드크로스

데드크로스 데스크로스란?60일 이평선이 20 이평선을 아래로 뚫고 내려가는 현상으로 하락추세가 강화를 의미합니다.   그림 보시면 빨간색이 20이평선, 파란색이 60 이평선으로빨간색 20이평선이 60 이평선을 뚫고 올라가는 게 골든크로스라면반대로 빨간색 20이평선이 아래로 뚫고 가는 현상이 데스크로스입니다. 여기서 데스크로스가 나가 하락추세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손절 혹은 익절을 하고, 저점을 다시 잡거나 해외 거래소를 이용하여공매도 포지션을 진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때 데스크로스를 볼 때 일봉, 240분 봉을 설정하시고 보시는 게 일반적입니다.  위 그림 보시면 데스크로스가 난 구간에 주가가 폭락했으며,RSI 지표도 30 이하로 내려가면서 과매도 구간에 진입함을 알 수 있습니다.

차트의 기본 2025.01.03

8. 골든크로스

골든크로스 골든크로스란?골든크로스란 20 이평선이 60 이평선 뚫고 치솟하는 현상으로 매수타이밍의 적기로 봅니다.    위 그림 보시면 빨간색이 20이평선 파란색이 60 이평선입니다.이렇게 파란색 아래 있던 빨간색 20 이평선이 60 이평선을 뚫고 올라가는 현상이 골든크로스로이렇게 뚫게 되면 가파른 상승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때 이평선이란 이동평균선의 약자로20 이평선이라고 하면 20일 동안 매수한 평균시세를 의미하며,20 이평선은 단기추세 60 이평선은 60일 동안 매수한 평균시세로 장기추세로 보며,20 이평선이 60이평선을 뚫는 골든크로스를 미루어 해석하면최근 단기적 상승 추세가 강하다고 해석하며 고로 가격이 상승한다 말합니다. 위 차트 보시면동그라미 부분이 골든크로스 구간입니다.빨간색 ..

차트의 기본 2025.01.03

7. 지지선, 저항선 분석

지지선, 저항선 그리는 법, 보는 법 고점은 고점끼리, 저점은 저점끼리 일직선으로 그어주가의 파동을 알아볼 수 있는 선을 추세선이라고 합니다.이 추세선은 상황에 따라 지지선 혹은 저항선으로 불리죠.   좌측 이미지는 상승추세로 저점을 이어 선을 만들면 이는 지지선이라고 합니다.그 이하로 가격이 떨어지지 않을 거라 해석이 가능합니다.오른쪽 이미지는 하락추세에서 저항선입니다.고점끼리 이어 선을 만들었으며 가격이 저항선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을 것이라 해석이 가능합니다. 매매법상승추세 저점에서 매수를 한다.하락추세 고점에서 매도를 한다.  이런 지지선과 저항선이 한결 같이 유지되면 좋겠지만상황에 따라 지지선이 저항선으로 저항선이 지지선으로 변합니다.이번 경우를 지지선이 깨졌다. 그래서 차트를 다시 그려야겠다? ..

차트의 기본 2025.01.03

6. 거래량 보는 법

비트코인 거래량 보는 방법 Volume(거래량)은 시간이 흐르면서 특정 자산의 주인이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거래량- 거래량은 특정 시간 내에 특정 자산군의 지분이 거래되는 수치를 보여준다.- 증권 시장에서는 통상 일단위로 계산이 된다.- 거래량은 시장의 움직임에 대하여 상대적 중요성을 측정해 준다.- 가격의 변동의 과정 속에 거래량이 급증하면 거래량이 적을 때 보다 더 신뢰도가 높다. 거래량의 본질적인 설명매일 같이 거래량이 중요하다 중요하다 반복적으로 듣습니다.하지만 거래량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100% 잘 활용하기는 힘듭니다.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거래량이라는 본질에 포커스를 맞추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매수자와 매도자가 거래를 체결할 때마다 총거래량에서 매매 횟수가 누적됩..

차트의 기본 2025.01.03

5. 상승과 조정

비트코인 상승과 조정주식이던 선물이던 비트코인이던 상승장에서 계속 상승만 하는 경우는 드물니다.대세 상승장에서도 큰 상승 후 한번 조정을 거쳐서 되돌림을 하고 다시 상승하는 패턴이죠.  조정이란 이렇게 상승 후 하락하는 구간을 조정이라고 하며,이를 이론으로 설명한 게 '피보나치 되돌림'이 있습니다.피보나치수열의 숫자만큼 되돌림 즉 다시 하락한다는 이론입니다.  피보나치되돌림에서 조정비율은 38.2% / 50% / 61.8%입니다.이 정도 비율로 조정이 온다는 뜻으로 조정비율이 61.8%를 넘어가는 경우는이를 조정으로 해석하기보다는 하락으로 해석합니다.조정이란 추가적인 상승을 전제로 하는 말이기 때문이죠. 이때 조정비율은 앞으로 상승 세기를 예측하기도 합니다.상승 후 조정비율이 작게 올수록 더 높은 추가 ..

차트의 기본 2025.01.03

4. 고점과 저점

비트코인 고점과 저점 *전 고점: 최근 가장 가격이 높은 구간의 점*전 저점: 최근 가장 가격이 낮은 구간의 점 고점과 저점은 말 그대로 쉽습니다.이 고점과 저점만 보고 매매도 가능하지만,다른 보조지표에 이용하여 차트 분석하는 게 가장 기본 재료가 됩니다.    위 차트 보시면 푸른색이 저점이고,빨간색이 고점입니다.예를 들어 고점과 저점 상승, 하락을 반복하면 이를 박스권 장세라고 하며,전 저점을 계속 올리거나, 전 고점을 계속 올린다면 이는 상승추세로 봅니다. 반대로 저점을 계속 낮추면서 내려가는걸 계단식 하락이라 표현하며,이는 하락추세입니다. 위 차트를 보시면 4시간 비트코인 봉입니다.20시 이후로 고점은 낮추고, 저점은 올리면서 삼각수렴 패턴을 뛰고 있습니다.이 삼각형이 수렴할 때쯤 강한 하락 혹은..

차트의 기본 2025.01.03